건축가이야기
정기용
2019. 3. 27.정기용 1945-2011 2003-2011 MBC 느낌표 프로젝트 ‘기적의 도서관(순천, 진해, 제주, 서귀포, 정읍, 김해)’ 설계1999-2008 무주공공프로젝트(무주군청, 공설운동장, 무주시장, 면사무소 4개소 등)설계2006 파주 열림원 설계2000 한국건축가협회 특별상 수상1995 청계동 주택 설계1992-1994 민족건축인협의회 회장 역임1990 계원조형예술대학 설계1985 기용건축 건축사 사무소 설립1982 프랑스 노동성 주관 ANACT(노동환경개선 설계경기) 3위 입상 “흙 건축가, 생태 건축가” 정기용은 프랑스에서 돌아온 뒤 1970년대 새마을운동으로 사라져간 우리나라 전통 흙집을 연구하였고, 흙은 콘크리트와 달리 생태계의 순환 원리가 적용됨으로 가장 민주적인 건축재료라고 생각하였다. 그..
이오밍 페이I. M. Pei
2019. 3. 27.이오밍 페이(Ieoh Ming Pei)(貝聿銘) 1917 - 2010 영국왕립건축가협회 로얄 금메달 수상2006 쑤저우 박물관(苏州博物馆) 설계1990 홍콩 중국은행 타워(中銀大廈) 설계1989 루브르 피라미드(Pyramide, Le Grand Louvre)설계1983 프리츠커상 수상1979 AIA 금메달 수상1978 인디애나 미술관, 달라스 시청 설계1963 아르놀드 브러너상(Arnold Brunner Award) 수상1961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 설계1955 아이엠페이앤파트너스(I.M.Pei&Partners) 설립1948-1954 웹앤납(Webb and Knapp) 근무 “중국계 미국인, 이오밍 페이(I. M .Pei)의 미국 건축” 이오밍 페이(I. M .Pei)는 중국계 미국인으로, 중국에서 고등..
승효상
2019. 3. 27.승효상 1952- 2014-2019 서울특별시 총괄 건축가2011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2010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설계2007 문화관광부 문화예술상, 파라다이스상 문화예술부문상 수상2000 웰콤시티 설계1998 수백당 설계1993 수졸당 설계1991 한국건축가협회상 수상1989- 이로재(履露齋) 대표1974 공간연구소 대표이사 "건축이 시대를 바꾸다." 승효상은 오스트리아 유학 시절 아돌프 로스(Adolf Loos)를 알게 된다,아돌프 로스 이전의 세계 건축은 관습의 역사, 전통의 질곡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하지만 그는 “장식은 죄악이다.”라고 하며 새로운 건축물을 내세웠고, 이것은 모더니즘이 탄생하는 실마리가 되었다. 즉, 건축이 시대를 바꾸는 역할을 한 것이다. 승효상은 이를 보고 건축을..
페터 춤토르Peter Zumthor
2019. 3. 20.페터 춤토르(Peter Zumthor) 1943- 2013 RIBA 로얄 골드 메달 수상2009 프리츠커상 수상2008 일본예술협회 프리미엄 임페리얼 수상2007 콜룸바 뮤지엄(Kolumba Museum) 설계2006 자연목재건축상 수상1996 발스 온천(Therme Bath, Vals)설계1995 스위스 알프스 국제건축상1989 세인트 베네딕트 예배당(Sumvitg) 설계 건축 설계는 과거의 경험을 보편적인 형태로 환영시키는 것 페터 춤토르(Peter Zumthor)는 존재론적 관점의 철학적 신념을 가지고 작업하는 건축가들 중 하나이다.그는 자신의 건축철학에 대하여 자신의 경험이 건축설계의 근간이 되고 있는 것을 강조하며 사물을 경험하는 것은 개개인의 주관적인 경험 안에서 머물지 않고 하나의 보편적인 ..
자하 하디드Zaha Hadid
2019. 3. 13.자하 하디드(Zaha Hadid) 1950-2016 2016 영국왕립건축가협회(RIBA) 금메달 수상2014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설계2012 중국 광저우 오페라하우스 설계2005 독일 라이프치히 베엠베(BMW)빌딩1998 로젠탈 현대미술센터1993 독일 비트라 소방서 설계1980 자하하디드 오피스 설립1977 메트로폴리탄 건축사무소 공동 대표 “현대건축의 다시점화(Multi-Viewpoint)” 오늘날 사회는 동시에 여러 요소가 움직이고, 복합적으로 변화한다.현대사회의 다양성을 담아내기 위해서 다양한 관찰자 시점을 수용할 수 있는 동적인 도면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현대 건축의 표현기법은 단순히 기록하고 보여주기 위한 재현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보이지 않는 것을 가시화하는 사고적인 표현..
방철린
2019. 2. 20.방철린 1948- 2012-2016 서울특별시청 공공건축가2014 한국건축문화대상 일반주거부문 대상 수상2013 제주 스테이 비우다 설계2009 대한민국건축대전 운영위원장2006- 칸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 탄탄 스튜디오, 탄탄 스토리하우스 설계2004-2006 대한건축학회 정회원1991-2006 인토(人土)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2005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수상2000-2001 한국건축역사학회 이사1999 대통령 표창 수상1998 하늘마당2 설계1997 하늘마당 설계1996 한국건축가협회 작품상1979-1991 정림건축1974-1978 공간 "사람과 사람의 만남" 건축가 방철린은 경제적 타탕성, 기간, 진행 속도 등 이유로 소외된 분야로 거론되었던 다가구주택을 통하여 자신의 분명한 건축세계를 드러낸다..
김효만
2019. 2. 20.김효만 1955- 2016 Iconic Awards Architecture Winner2014 아키피오레 설계2013 서울특별시 공공건축가 화헌 설계2012 가온재 설계 2010 제7,8회 세계건축가연합상 수상2009 제3,4회 세계건축가연합상 수상2005 혜로헌 설계1999 임거당 설계1995 학익재 설계1989- 이로재김효만건축사사무소(IROJE KIMHYOMAN) 대표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사협회, 한국건축가협회 정회원1978-1990 ㈜공간종합건축사 사무소 근무 “한국성의 현대적 실현, 한국성 있는 세계적 건축” 1978년 김수근의 에서 실무를 시작한 김효만은 여느 건축가들과 마찬가지로 모더니즘적 건축에 기울어있었다. 하지만 독립 이후, 그의 건축 경향은 달라졌다. 김효만은 맹목적인 서구화가 되어..
아오키 준あおきじゅん
2019. 2. 20.아오키 준 (あおきじゅん) 1956- 2008 일본 예술장려상, 굿디자인 어워드 수상2005 아오모리현립미술관 설계2004 긴자 나미키 루이비통 설계1993 유수관 설계1991- 아오키 준 건축계획사무소(Jun Aoki & Associates) 대표1983-1990 이소자키 아리타 아틀리에 근무 "실재보다 더 실재의 역할을 하는 이미지" 현대의 스펙터클한 사회에서는 이미지가 실재보다 더 실재의 역할을 한다.즉, 현대의 투명한 이미지는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것이 되어 현실을 대체하는 현상을 가져왔다.현대인들은 짧은 시간에 파악할 수 있는 이미지를 통해 사물의 가치를 판단하고 결정한다. 1990년대 이후, 현대 건축가들이 표면에 집중하는 것은 이러한 사회현실과 밀접하게 연관된다.현대인들은 오랜 시간 보아야 ..
로랑 보두앵Laurent Beaudouin
2019. 2. 20.로랑 보두앵(Laurent Beaudouin) 1955- “건축과 자연 관계의 회복” 건축은 인간에게 삶의 공간을 제공하고, 인간은 그것의 형태를 만들어 줌으로써 인간과 관계를 맺어간다. 현대에 이르러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새로운 시대 정신이 대두되었고, 건축 분야에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었다. 로랑 보두앵은 사회가 인공화되어 갈수록 건축과 자연의 관계회복이 절실하며, 건축은 자연이 일부이기에 건축을 자연에 반환해야 한다고 하였다.그는 자신의 건축에 자연의 요소를 추상적인 형태로 투영시키고, 빛과 색상을 중재하면서 기하학적인 형태로 변화시켜나갔다.특히 그는 빛을 통하여 시간의 움직임을 보여주며, 그 빛이 건축을 변화시키는 유일한 것이라고 말한다. “네오 코르뷔지안(Neo-Corbusian), 로랑..
우규승
2019. 2. 13.우규승 1941 - 2008 하버드대학교 기숙사 설계 제 18회 호암상 예술상1997 석운재 설계1991-1994 환기미술관 설계1985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 설계우규승 건축사무소 대표 우규승은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활동한 건축가이다.이질적인 두 사회에서 경험한 갈등과 차이는 우규승 작업에 큰 중심으로 자리 잡았고,그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영향을 조율하는 것에서 그의 건축철학이 시작되었다. “지난 25년 동안 나는 주로 미국 동북부와 서울의 프로젝트들을 다루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지역의 현저한 사회적 문화적인 상이점과 공통점은내 작업의 근간을 이루면서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 현대건축의 기율” 한국의 현대건축은 다양한 배경과 자구(自救)적 역사를 가진 서구와 달리, 서양의 양..
이토 도요いとうとよお
2019. 2. 8.이토 도요(いとうとよお) 1941 - 2017 UIA 서울세계건축대회 골드 메달 수상2013 프리츠커상 수상2006 왕립영국건축가협회 금메달 수상2001 매이기현 센다이 미디어테크(Sendai Mediatheque) 설계1986 요코하마 바람의 타워 설계, 일본건축학회 작품상 수상1971- 이토도요 건축설계사무소 대표이사1965-1969 카쿠타케 키요노리(Kiyonori Kikutake Architect and Associates) 건축설계사무소 건축가 "시대는 변하고, 건축도 변한다." 건축은 시대를 반영한 결과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시대는 변하고 마찬가지로 건축도 변한다. 건축가는 이런 변화 속에서 변화의 흐름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 이토 도요(いとうとよお)는 현재 상황..
김중업
2019. 2. 8.김중업 1922 – 1988 1983 대한민국 산업훈장 수상1981 육군박물관 설계1971-1975 프랑스 문화부 고문건축가1969 삼일로 빌딩 설계1964 제주대학교 본관 설계1963 프랑스 국가공로훈장 수상1960 주한 프랑스 대사관 설계1956 김중업건축연구소(Atelier Kim Chung-up) 개설1952 르 코르뷔지에 아틀리에 “김중업,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김중업은 1952년 베니스에서 열린 제1회 국제예술가대회에 참석하여 르 코르뷔지에를 만나게 된다.당시 파리의 ‘아틀리에 르 코르뷔지에(Atelier Le Corbusier)’에서는 현대 건축사에서 중요한 작품들이 탄생하고 있었고, 김중업은 아틀리에 일원으로 총 12개의 작품에 참여하였다.르 코르뷔지에 작업에 참여했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