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무소
페터 춤토르Peter Zumthor
2019. 3. 20.페터 춤토르(Peter Zumthor) 1943- 2013 RIBA 로얄 골드 메달 수상2009 프리츠커상 수상2008 일본예술협회 프리미엄 임페리얼 수상2007 콜룸바 뮤지엄(Kolumba Museum) 설계2006 자연목재건축상 수상1996 발스 온천(Therme Bath, Vals)설계1995 스위스 알프스 국제건축상1989 세인트 베네딕트 예배당(Sumvitg) 설계 건축 설계는 과거의 경험을 보편적인 형태로 환영시키는 것 페터 춤토르(Peter Zumthor)는 존재론적 관점의 철학적 신념을 가지고 작업하는 건축가들 중 하나이다.그는 자신의 건축철학에 대하여 자신의 경험이 건축설계의 근간이 되고 있는 것을 강조하며 사물을 경험하는 것은 개개인의 주관적인 경험 안에서 머물지 않고 하나의 보편적인 ..
프랭크 게리Frank Gehry
2019. 3. 20.프랭크 게리(Frank Gehry) 1929- 2016 미국 대통령 자유의 메달 수상2006 Stay at Marqués de Riscal 설계2003 캐나다 기사단 수작, Walt Disney Concert Hall 완공2000 MoPOP 설계1999 AIA 금메달 수상1997 Guggenheim Bilbao Museum 완공1996 The Dancing House 설계1989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 우리가 건물을 만들지만, 그 후에는 건물이 우리를 만드는 것이다. 우리 주변의 많은 건축물들은 건축적 가치와 상관없이 ‘경제적인 물건’으로 지어진다.‘인간을 위한 공간과 환경’이라는 건축물의 면은 상대적으로 무시되고 있는 것이다.이에 대하여 프랭크 게리(Frank Gehry)는 건물 자체가 하나의 기쁨이나 ..
쿠마 켄고くまけんご
2019. 3. 13.쿠마 켄고(くまけんご) 1954- 2007 최우수 뉴 글로벌디자인상2005 마블 아키텍쳐상2001 건축업협회상2000 토호쿠건축상 작품상1997 일본건축학회상, AIA 베네틱터스상 수상1990 켄고 쿠마 어소시에이츠 설립 “건축은 어떻게 존재해야 할 것인가” 쿠마 켄고는 콘크리트, 철 그리고 유리 등과 같은 대량생산재가 온 세상에 퍼져 동일한 방법에 의한 건축의 범람에 회의를 느껴 ‘건축은 어떻게 존재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고 있었다.그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이해하며, 자연에 순응하고 조화를 이루는 동양사상의 자연관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 특징들은 시각적 표현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모든 작품 속에 차별화 된 하나의 건축적 개념으로 강하게 흐른다. “건축을 지우는 것(Erase Arch..
부암동 단독주택
2019. 3. 13.부암동 단독주택 건축사무소 엠엘앤피 I mlnparchitects.com책임건축가 이명호 I 02-572-8026건물 위치 서울시 종로구 부암동용 도 단독주택 대지 면적 420.3㎡건축 면적 207.83㎡연 면적 297.34㎡시 공 동아에이앤씨(주) I 02)735-1119 ㅣ www.dongaanc.com 부암동 단독주택 모형 부암동 단독주택 조감도 부암동 단독주택 공사사진
정릉4동 성당
2019. 3. 13.정릉4동 성당 리모델링공사 건물 위치 서울시 성북구 보국문로14길 14시 공 동아에이앤씨(주) I 02)735-1119 ㅣ www.dongaanc.com완공 연도 2017년 정릉4동 성당의 노후에 따른 건축물의 누수, 방수문제 해결과 석재오염 등을 개선하고외부보수를 통한 환경개선을 위하여 리모델링공사를 진행하였다. 정릉4동 성당 준공사진 정릉4동 성당 공사사진
로랑 보두앵Laurent Beaudouin
2019. 2. 20.로랑 보두앵(Laurent Beaudouin) 1955- “건축과 자연 관계의 회복” 건축은 인간에게 삶의 공간을 제공하고, 인간은 그것의 형태를 만들어 줌으로써 인간과 관계를 맺어간다. 현대에 이르러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새로운 시대 정신이 대두되었고, 건축 분야에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었다. 로랑 보두앵은 사회가 인공화되어 갈수록 건축과 자연의 관계회복이 절실하며, 건축은 자연이 일부이기에 건축을 자연에 반환해야 한다고 하였다.그는 자신의 건축에 자연의 요소를 추상적인 형태로 투영시키고, 빛과 색상을 중재하면서 기하학적인 형태로 변화시켜나갔다.특히 그는 빛을 통하여 시간의 움직임을 보여주며, 그 빛이 건축을 변화시키는 유일한 것이라고 말한다. “네오 코르뷔지안(Neo-Corbusian), 로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