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밍 페이(Ieoh Ming Pei)(貝聿銘) 1917 -
2010 영국왕립건축가협회 로얄 금메달 수상
2006 쑤저우 박물관(苏州博物馆) 설계
1990 홍콩 중국은행 타워(中銀大廈) 설계
1989 루브르 피라미드(Pyramide, Le Grand Louvre)설계
1983 프리츠커상 수상
1979 AIA 금메달 수상
1978 인디애나 미술관, 달라스 시청 설계
1963 아르놀드 브러너상(Arnold Brunner Award) 수상
1961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 설계
1955 아이엠페이앤파트너스(I.M.Pei&Partners) 설립
1948-1954 웹앤납(Webb and Knapp) 근무
“중국계 미국인, 이오밍 페이(I. M .Pei)의 미국 건축”
이오밍 페이(I. M .Pei)는 중국계 미국인으로, 중국에서 고등학교 시절까지 보낸 후 미국으로 건너간다.
그는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하버드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미국 건축가협회에서 수상하게 되면서
미국 건축계의 관례를 깨고, 미국의 중요한 건축을 미국인이 아닌 그가 맡게 된다.
1960년 이오밍 페이가 자신의 건축회사를 설립한 후, 더 큰 프로젝트를 하기 시작했는데,
그중 존 F.케네디(John F. Kennedy) 도서관을 설계하며 미국 건축계뿐 아니라 미국 정부에서도 그의 혁명적이고 대담한 디자인을 인정하기 시작한다.
“모더니즘 건축의 마지막 건축가”
후기 모더니즘 건축가의 마지막 건축가로 불리는 페이의 건축 스타일은 철저히 모더니즘적이며, 동시에 큐비스트적인 테마를 갖고 있다고 평가된다.
철저한 기능주의와 장식을 배제하는 그의 건축 스타일은 미스 반 데 로에의 ‘Less is more’을 잘 실천한 건축가이며,
전통적인 건축적 요소 위에 단순한 패턴을 가진 미래지향적 디자인과 공법이 결합된 작품을 선보인다.
그는 주로 석재, 콘크리트, 유리, 철강 등을 활용하여 추상적인 형태를 설계하는데,
대부분 디자인적으로 매우 독창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대규모 작품에서는 더욱 선명하고 기하학 적 형태의 디자인이 주요 특징으로 드러난다.
“‘중국’ 출신 ‘미국인’ 건축가의 ‘서양’ 현대 건축”
중국의 혁명개방 이후, 그는 중국을 수차례 방문하며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 건축 철학을 탐색하였다.
그는 중국 전통 건축의 핵심을 자연이라 보고 자연(안뜰)과 건축을 융합시키며 자신의 건축 철학을 완성 시킨다.
이후, 그는 중국뿐 아니라, 이슬람, 이집트 등 세계 문명을 탐색하며 세계 역사가 빚어낸 찬란한 문명을 건축에 녹여낸다.
이 과정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랑스 루브르의 피라미드가 탄생한 것이다.
즉, 루브르의 유리 피라미드(Pyramide, Le Grand Louvre)는 ‘중국’ 출신 건축가가 ‘이집트’ 문명을 ‘서양’ 현대 건축의 방식으로 녹여내어 프랑스 파리에 집대성한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날 선 칼날의 중국은행 타워(中銀大廈)”
루브르 유리 피라미드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처럼 칼처럼 날 선 외형과 기하학적인 것의 그의 건축 특징이다.
그의 건축 특징은 특히 중국은행 타워(中銀大廈)에서 돋보인다.
이오밍 페이의 아버지가 과거 중국은행의 총지배인이었다는 인연으로 설계를 맡은 중국은행 타워는 홍콩 야경에서 빠질 수 없는 건물로 자리 잡았다. 유리와 강철을 사용하여 만든 이 건물은 중국인의 힘과 끈기를 상징하는 대나무에서 형상화하여 설계하였다고 한다.
이 중국은행 타워는 라이벌관계인 HSBC은행 옆에 세워져 있는데, 혹시 중국은행 타워가 넘어간다면 HSBC은행 쪽으로 넘어지게 해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중국은행 타워의 첨탑은 칼날을 형상하며,
건물이 넘어갔을 때 정확히 HSBC은행의 가운데를 첨탑이 가르면서 넘어지도록 설계하였다.
참고문헌
문정필, 「이오 밍 페이 건축언어에 나타난 동·서양 미의 상보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9권 7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