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근 1931 -1986
1986 은탑산업훈장 수상, 라마다 르네상스 호텔, 서울지방법원청사, 올림픽공원 경기장 등 설계
1985 지하철 경복궁역사 설계
1984 철탑산업훈장 수상, 국립과학관 설계
1979 이탈리아 문화공로훈장
1976 세계건축가연맹 이사
1972 공간그룹 설립
1971 공간사옥 설계
1961 - 1972 김수근건축연구소 대표
"한국의 미, 한국성, 전통성"
일제강점기, 우리나라는 일본식 모더니즘이 적용된 서구 문명의 유입으로 비판적 수용이 어려웠다.
이는 전통의 단절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우리에게 한국 전통성의 부활과 지속은 한국 디자인, 건축, 예술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다.
김수근은 서양 건축을 우리나라에 들여와 접목하기 시작한 한국의 1세대 현대 건축가로, 한국 현대 건축에 대하여 공간의 다양한 면의 조화를 위한 일련의 방법을 탐구하였다.
그가 한국 전통성에 대하여 연구하게 된 배경에는 유년시절과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시절에 그가 생활하였던 북촌이 있다.
북촌이 그에게 준 영향으로는 한국 건축이 가지는 건축과 대지와의 관계, 한옥이 가지는 선적인 구성과 조형의식, 북촌의 집과 담장, 그리고 대문이나 계단 등으로 구성된 ‘사이 공간’이라는 공간 개념이다.
이러한 결과로 ‘한국의 미’, ‘한국성’, ‘전통성’에 대한 깊은 연구를 통하여 그만의 건축철학으로 완성되었다.
"건축은 빛과 벽돌로 짓는 시"
김수근은 건축을 빛과 벽돌이 짓는 시라고 정의하였다.
그만큼 벽돌에 대한 그의 애정은 남달랐다.
그에게 건축은 단순한 ‘건축물’ 이상의, 인간의 삶을 반영하는 그 무엇이다.
건축가 김수근에게 공간은 ‘비움(Emptiness)’의 상태이고, 건물의 벽은 궁극적으로 비움의 상태, 즉 공간을 만들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이므로 중요한 것은 바로 ‘내부 공간’이라고 하였다.
아르코미술관이 특별한 입구 없이 공간과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있으며, 정문은 길가가 아닌 옆으로 살짝 비껴서 있는 것을 그의 건축철학의 일례로 들 수 있다.
"공간적 건축, 공간사옥(Space)"
한국 건축 최고의 현대건축물로 꼽히는 공간사옥은 특히 한국적 공간을 구현한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공간사옥은 김수근 자신과 공간그룹을 위한 건물로 자신이 추구한 가치, 자신의 건축철학을 좀 더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었을 것이다. 공산사옥의 조형성과 공간 미학은 건축물이 터를 잡고 있는 장소적 성격, 즉 좁은 골목길을 따라 집들이 모여 있는 북촌이 지닌 도시 정서를 건축 공간 안에 담아내고자 한 김수근의 건축관을 그대로 보여준다.
특히 이 건축작은 전통적 이미지들이 건축형태에 융화되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인다고 알려졌다.
과도기적 모습이라는 이 공간사옥을 통하여 우리는 건축가의 고민과 실험적 측면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전의 김수근은 한국적 형상을 은유적으로 적용하는 형태적 건축을 하였다. 그 일례로 부여박물관을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공간사옥은 더 이상 형태적 건축이 아닌 공간적 건축이다.
공간사옥에서 계단은 독창적인 한국형 건축 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한 김수근이 전통건축의 공간적 특징을 드러내기 위하여 사용한 핵심적인 건축 방법의 하나로 언급된다. 김수근 자신도 창조적 공간을 만듦에 있어 계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기능주의 건축 경향은 공간의 용도와 구조, 형태, 미적 가치 등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고, 그 영향으로 건축물의 구성요소 중 중심과 주변 관계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계단은 소외된 공간으로 전락하였다.
하지만 김수근은 계단을 통하여 전통 건축의 공간성과 연속성을 보여줌으로써 역사적으로 공간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또한 그것은 기존 건축 질서에 새로움과 윤택함, 그리고 한국성을 보여주는 수단이 된 것이다.
참고문헌
이성수, 「김수근 건축철학의 한국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박사학위 논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한, 「몸의 공간, 눈의 공간: 건축가 김수근의(구)공간사옥」, 『현대미술사연구』, 2015
김정동, 「김수근 건축, 25년 재고」, 『한국건축역사학회』, 2012
유소라, 「타계 20주년이 된 건축가 김수근 빛과 벽돌로 시를 쓰다」, 『주택과사람들』, 2006
정인하, 「한국의 건축가 – 김수근」, 1995